AUTOSAR

AUTOSAR와 Ethernet 기반 차량 네트워크 통합 기술

뱅글Vangle 2025. 7. 25. 15:36

Automotive Ethernet 아키텍처와 IEEE 802.3 확장

차량용 Ethernet은 기존의 IT 환경에서 검증된 IEEE 802.3 표준을 차량 환경에 맞게 확장한 통신 기술입니다. 100BASE-T1과 1000BASE-T1을 통해 단일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로 각각 100Mbps와 1Gbp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이는 기존 CAN 대비 100배 이상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물리 계층에서는 차량 환경의 EMI(전자기 간섭), 온도 변화, 진동 등을 고려한 강화된 신호 처리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기 위한 Energy Efficient Ethernet(EEE) 기술과 차량 전원 관리와 연동된 Wake-on-LAN 기능이 구현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측면에서는 스위치 기반 스타형 구조를 통해 확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중앙 집중식 스위치 허브를 통해 각 ECU가 연결되는 구조로,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하고 장애 격리가 효과적입니다. 또한 링크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통해 여러 물리적 연결을 논리적으로 통합하여 대역폭을 증대시키고, 링크 중복성을 통해 고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VLAN(Virtual LAN) 기술을 활용하여 단일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논리적 네트워크로 분리하고, 각 도메인별로 독립적인 통신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AUTOSAR와 Ethernet 기반 차량 네트워크 통합

TSN(Time-Sensitive Networking) 기반 실시간 통신

TSN은 Ethernet 기반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기술 집합입니다. IEEE 802.1Qbv 표준의 시간 인식 스케줄러(Time-Aware Shaper)를 통해 결정론적 통신을 구현하며, 각 트래픽 클래스별로 전송 시간을 예약하여 지연 시간을 보장합니다. 이를 통해 안전 관련 제어 메시지는 최대 1ms 이내의 지연 시간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일반 데이터 트래픽은 남은 시간 슬롯을 활용하여 전송됩니다. 또한 IEEE 802.1AS 표준을 통한 정밀한 시간 동기화가 구현되어 네트워크 전체에서 나노초 단위의 시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선점(Frame Preemption) 기능을 통해 고우선순위 트래픽이 저우선순위 트래픽을 중단시키고 즉시 전송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킵니다. 이 기능은 IEEE 802.1Qbu와 IEEE 802.3br 표준을 통해 구현되며, 진행 중인 프레임 전송을 중단하고 재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또한 순환 큐잉 및 전달(Cyclic Queuing and Forwarding) 기술을 통해 주기적인 트래픽의 지연 시간을 예측 가능하게 관리하고, 네트워크 부하가 높은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실시간 통신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SOME/IP 프로토콜과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ME/IP(Scalable service-Oriented MiddlewarE over IP)는 차량용 Ethernet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지향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미들웨어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요청-응답 기반의 RPC(Remote Procedure Call) 메커니즘과 발행-구독 기반의 이벤트 통신을 모두 지원하여 다양한 통신 패턴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직렬화된 데이터 포맷을 통해 플랫폼 독립적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하여 복잡한 구조체나 배열 데이터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메커니즘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동적으로 검색하고 바인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연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합니다.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네트워크에 광고하고, 서비스 소비자는 필요한 서비스를 검색하여 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싱 기능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의 여러 인스턴스 중에서 최적의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장애 조치 메커니즘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장애 시 자동으로 대체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QoS 협상을 통해 서비스별로 다른 성능 요구사항을 지원하고, 서비스 모니터링을 통해 실시간 성능 지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보안 프레임워크와 네트워크 관리

Ethernet 기반 차량 네트워크의 보안은 다층적 접근 방식을 통해 구현됩니다. 물리적 보안부터 시작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sec을 통한 프레임 레벨 암호화, 네트워크 계층의 IPsec을 통한 종단 간 보안, 그리고 응용 계층의 TLS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보안까지 포괄적인 보안 체계를 구축합니다. 특히 MACsec은 스위치 간 통신을 보호하여 내부 네트워크 공격을 방지하고, IPsec은 ECU 간 통신을 암호화하여 데이터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인증서 기반 인증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관리하고, 비정상적인 통신 패턴을 감지하는 침입 탐지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네트워크 관리 측면에서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와 NETCONF를 통한 중앙 집중식 관리가 구현됩니다. 실시간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통해 대역폭 사용률, 패킷 손실률, 지연 시간 등의 성능 지표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이상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개념을 도입하여 네트워크 구성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실제 구현 사례에서는 이러한 통합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처리량을 기존 대비 100배 향상시키고, 실시간 통신 지연을 1ms 이하로 보장하며, 99.9% 이상의 네트워크 가용성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